본문 바로가기
세금 및 정부혜택

원천세 가산세 기준, 얼마나 부과될까?

by taxtip119 2025. 4. 3.
반응형

원천세 가산세 기준, 얼마나 부과될까?

 

사업을 운영하다 보면 매달 빠지지 않고 챙겨야 하는 것이

바로 원천세 신고 및 납부입니다.
하지만 깜빡하거나 실수로 제때 신고·납부하지 못했다면?
가산세가 발생하게 됩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 원천세 가산세의 부과 기준과 계산 방법
실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드릴게요!


원천세 가산세란?

원천세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등 다양한 소득에 대해
사업자가 원천징수해 국가에 대신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사업자가 정해진 기한 내에 세금을 신고하거나 납부하지 않은 경우,
또는 적게 납부한 경우 벌칙성 세금으로 추가 부과되는 금액입니다.


원천세 가산세가 부과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원천징수의무자에게 가산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원천징수한 세금을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은 경우
  • 세액을 과소 납부하거나 누락한 경우
  • 간이세액표보다 적은 금액을 납부한 경우

예시)

급여를 지급했지만, 간이세액표에 따른 세액보다 적은 금액을 원천징수했거나,
아예 원천징수를 안 한 경우 → 가산세 부과 대상


원천세 가산세 계산 방법

가산세는 단순히 “3%”가 아닌, 아래 공식에 따라 복합적으로 계산됩니다.

 
미납세액 × 3% + (과소·무납부 세액 × 2.2/10,000 × 경과일수) = 총 가산세 (단, 최대 50% 한도)

📌 중요한 포인트

  • **미납세액 기준 3%**는 기본
  • 여기에 경과일 수 × 2.2/10,000을 추가
  • 단, 전체 가산세는 과소·무납부 세액의 50%를 넘지 않도록 제한

🔹 예전에는 3/10,000 비율이었지만,
2022년 2월 15일부터는 2.2/10,000 비율이 적용됩니다.

 


실제 적용 사례

  •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 O + 납부 X → 가산세 O
  • 신고도 X + 납부도 X → 가산세 O
  • 정확히 신고하고 제때 납부했을 경우 → 가산세 X

가산세 줄이는 팁

  1. 신고기한(매월 10일) 지키기!
  2. 간이세액표에 따라 원천세를 정확하게 계산
  3. 신고는 했지만 납부를 못했다면, 경과일 수를 줄이는 것이 관건
 

지금까지 원천세 가산세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특히 원천세는 매달 빠짐없이 신고해야 하므로, 실수로 인한 가산세를 피하기 위해
꼼꼼한 일정 관리와 정확한 계산이 필요합니다!

💡 이 글이 도움 이 되었다면💡

 아래에 있는 공감♡ 한 번씩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