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 및 정부혜택

최저시급 10,030원 시대, 2025년 월급 실수령액은?

by taxtip119 2025. 3. 8.
반응형

최저시급 10,030원 시대, 2025년 월급 실수령액은?

 

2025년부터 최저시급이 10,03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근로자들의 월급 실수령액에도 변화가 생겼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월급이 어떻게 계산되며,

실제로 통장에 찍히는 실수령액은 얼마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2025년 최저시급 및 월급 계산

  • 최저시급: 10,030원
  • 일급: 10,030원 × 8시간 = 80,240원
  • 주휴수당 포함 주급: 80,240원 × 5일 + 주휴수당 80,240원 = 481,440원
  • 월급: 481,440원 × 4.345주 = 2,096,270원

여기서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소정 근로일을 개근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유급휴일 수당입니다.

따라서 주 40시간 근무하는 근로자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4대 보험료 공제 내역

월급에서 공제되는 4대 보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연금: 2,096,270원 × 4.5% = 94,332원
  • 건강보험: 2,096,270원 × 3.545% = 74,370원
  • 장기요양보험: 74,370원 × 12.81% = 9,528원
  • 고용보험: 2,096,270원 × 0.9% = 18,867원

총 공제액: 94,332원 + 74,370원 + 9,528원 + 18,867원 = 197,097원 (근로자 부담금)


3. 월급 실수령액 계산

세전 월급: 2,096,270원

4대 보험료 공제: 197,097원

실수령액: 2,096,270원 - 197,097원 = 1,899,173원


4. 주휴수당 포함 시 월급 계산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월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주휴수당 포함 월급: 2,515,524원
  • 4대 보험료 공제: 236,532원
  • 실수령액: 2,515,524원 - 236,532원 = 2,278,992원

주휴수당 포함 시 실수령액은 약 2,278,992원입니다.


5.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근로자가 1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을 모두 개근하고,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 지급되는 유급휴일 수당입니다.

 

이는 근로자의 휴식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로, 모든 사업장에 적용됩니다.


6. 연봉으로 환산하면?

최저시급 10,030원을 기준으로 연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세전 연봉: 2,096,270원 × 12개월 = 25,155,240원
  • 세후 연봉: 1,899,173원 × 12개월 = 22,790,076원

주휴수당 포함 시:

  • 세전 연봉: 2,515,524원 × 12개월 = 30,186,288원
  • 세후 연봉: 2,278,992원 × 12개월 = 27,347,904원

7. 수습 기간의 최저임금 적용

수습 기간에는 최저임금의 90%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이는 수습 기간이 3개월 이내이고, 근로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에 적용됩니다.

단, 단순노무직 근로자의 경우 수습 기간에도 최저임금의 100%를 지급해야 합니다.


최저시급 인상은 되었지만 체감은 딱히 안되네요 ㅠㅠ

여러분은 체감이 되시나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