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 및 정부혜택

2025년 통합고용증대세액공제, 중소기업이 받을 수 있는 혜택

by taxtip119 2025. 3. 16.
반응형

2025년 통합고용증대세액공제, 중소기업이 받을 수 있는 혜택

 

기업이 신규 직원을 채용하면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통합고용증대세액공제!

💡 "직원 채용하면 얼마나 세금 감면을 받을 수 있을까?"
💡 "중소기업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은?"
💡 "어떤 기업이 신청할 수 있을까?"


특히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더 큰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세금 절감 효과가 큽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통합고용증대세액공제를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


1. 통합고용증대세액공제란? 

📌 통합고용증대세액공제란?
기업이 직전 과세연도보다 근로자 수를 늘리면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
고용 인원이 증가할수록 더 많은 세금 감면 가능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더 높은 공제 혜택 적용

 

📌 세액공제 대상: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모두 가능 (단, 공제 금액 차등 적용)
1년 이상 근무하는 상시근로자 고용 증가 시 적용 가능
청년·경력단절여성·고령층(60세 이상)·장애인 등은 추가 혜택 적용

 

쉽게 말해, 중소기업이 신규 직원을 채용하면 그만큼 세금 부담이 줄어든다는 뜻!


2. 중소기업이 받을 수 있는 통합고용증대세액공제 혜택

📌 고용 인원 증가에 따른 세액공제 금액 (기업 규모별 차등 적용)

 

기업 규모/ 일반 상시근로자 1인당 공제액 / 청년·장애인·고령자·경력단절여성 1인당 공제액
중소기업 (수도권) 850만 원 1,450만 원
중소기업 (비수도권) 950만 원 1,550만 원
중견기업 450만 원 800만 원
대기업 없음 400만 원

 

일반 상시근로자(신규 채용자)도 수도권은 850만 원, 비수도권은 950만 원 세액공제
청년·고령자·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채용하면 최대 1,550만 원까지 세금 감면 가능
대기업은 일반 근로자 세액공제 없음, 청년·장애인 등 취약계층만 지원

 

💡 결론적으로, 중소기업이 청년·경력단절여성·고령층을 채용하면 더 많은 세금 감면 가능!


3. 통합고용증대세액공제 신청 가능 기업 

📌 ✅ 소비성 서비스업을 제외한 모든 업종 가능

소비성 서비스업이란?
호텔 및 여관업 (관광진흥법에 따른 관광숙박업 제외)
유흥주점업 (단란주점, 모든 유흥주점 등)
도박장 운영업 등 기타 소비성 서비스업

-> 일반 제조업·도소매업·IT업·스타트업 등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신청 가능!

 

📌 ✅ 대표자가 내국인일 것

소득세법상 내국인 거주자:

국내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 거주한 개인

법인세법상 내국법인:

본점, 주사무소 또는 사업의 실질적 관리장소가 국내에 있는 법인

🚨 외국인 기업이거나 해외법인은 신청 불가!

 

📌 ✅ 전년 대비 상시근로자 수 증가할 것

고용 인원 증가 조건 예시
직전 연도 상시근로자: 10명 → 해당 연도 12명 (2명 증가 시 세액공제 가능!)
단, 신규 채용했지만 퇴사자와 인원 변동이 없으면 세액공제받을 수 없음

 

직원 채용 후 총 인원 수가 늘어나야 혜택 적용 가능!


4. 통합고용증대세액공제 적용 요건 

📌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기본적으로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해당 과세연도의 상시근로자 수 증가
직전 과세연도보다 근로자 수가 늘어났을 것

 

기존 근로자 수가 유지된 경우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으며, 반드시 근로자가 증가해야 적용 가능!

 

📌 상시근로자 기준
1개월간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이상인 단기간 근로자
근로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근로자
근로계약이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1년 이상 근속한 경우 포함

 

단, 대표이사·법인의 최대주주·특수관계인·임원 등은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


5. 통합고용증대세액공제 팁 (세금 절감 효과 극대화!)

📌 통합고용증대세액공제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

1) 청년·경력단절여성·장애인 등 취약계층 우선 채용
✅ 일반 근로자보다 세액공제 혜택이 훨씬 큼
✅ 중소기업의 경우 1인당 최대 1,550만 원까지 공제 가능

2) 신규 채용 시 근로계약을 1년 이상으로 체결
✅ 단기 근로자는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됨
✅ 계약직이라도 1년 이상 근무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이 유리

3)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 사업장을 둘 경우 세금 감면 효과 증가
✅ 수도권보다 비수도권 중소기업이 더 높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음

4) 고용증대세액공제 외 다른 세액공제와 중복 적용 가능 여부 확인
✅ 연구개발(R&D) 세액공제 등 다른 세금 감면 제도와 함께 활용 가능

 

🚀 결론적으로, 취약계층을 채용하고 장기 근무하도록 하면 최대한 많은 세금 감면을 받을 수 있음!


통합고용증대세액공제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 중소기업이라면 통합고용증대세액공제를 적극 활용해 세금 부담을 줄이세요!

 

💡 이 글이 도움 이 되었다면💡

 아래에 있는 공감♡ 한 번씩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