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 및 정부혜택

2025년 4대보험 요율 총정리! 건강보험·국민연금·고용보험·산재보험

by taxtip119 2025. 3. 12.
반응형

2025년 4대보험 요율 총정리! 건강보험·국민연금·고용보험·산재보험

 

2025년부터 4대보험 요율이 일부 조정되면서 근로자와 사업주의 부담금이 달라졌습니다.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 포함),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되며,
급여에서 일정 금액이 공제되기 때문에 실수령액에 영향을 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4대보험 요율 및 계산법근로자와 사업자 부담액 기준으로 쉽고 빠르게 정리해 드릴게요!


내 월급에서 얼마나 빠지는지, 사업주는 얼마를 부담해야 하는지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


1. 4대보험이란? 

📌 4대보험이란?
4대보험은 근로자의 사회보장을 위해 국가에서 운영하는 필수 보험으로, 직장인은 자동 가입됩니다.

 

국민연금: 노후 대비 연금
건강보험: 의료비 부담 경감 (장기요양보험 포함)
고용보험: 실업급여 및 고용안정 지원
산재보험: 근무 중 발생한 사고 보장

 

📌 누가 가입해야 할까?
직장인(근로자) → 가입 필수 (회사에서 자동 가입)
사업주(법인·개인사업자) → 직원 채용 시 가입 필수
프리랜서·자영업자 → 선택 가입 가능 (고용·산재보험 제외)

 

🚨 사업주가 4대보험 미가입 시 과태료 및 법적 불이익 발생!


2. 2025년 4대보험 요율 총정리 (근로자 & 사업주 부담금 비교)

2025년 4대보험 요율은 아래와 같이 적용됩니다.

 

(구분/근로자 부담/ 사업주 부담/합계)

국민연금 4.5% 4.5% 9%
건강보험 3.545% 3.545% 7.09%
장기요양보험료 12.95% 6.475% 6.475%
고용보험 0.9% 0.9% 1.8% + 고용안정기금
산재보험 - 업종별 차등 적용 -
합계 약 9.4% 약 10.4% 약 19.8% + 산재보험

근로자는 약 9.4% 부담, 사업주는 약 10.4% 부담
총 19.8%의 4대보험료가 급여에서 공제됨 (산재보험 제외)

 

🚨 산재보험은 업종에 따라 요율이 다르므로 개별 확인이 필요해요!


3. 2025년 4대보험 상세 계산법 (실제 월급에서 얼마나 공제될까?)

📌 월급 300만 원 기준으로 계산

 

(구분/근로자 부담/ 사업주 부담/합계)

국민연금 135,000원 135,000원 270,000원
건강보험 106,350원 106,350원 212,700원
장기요양보험료 13,780원 13,780원 27,560원
고용보험 27,000원 27,000원 54,000원 + 고용안정기금
산재보험 - 업종별 차등 -
총 공제액 약 282,130원 약 282,130원 + 산재보험 총 564,260원 + 산재보험

월급 300만 원일 경우 근로자는 약 28만 원 공제 후 실수령
사업주는 추가로 28만 원 + 산재보험 부담

 

💡 실수령액을 정확히 알고 싶다면 4대보험 계산기를 활용하세요!


4. 4대보험 개별 항목 상세 분석

1) 국민연금 

요율: 9% (근로자 4.5%, 사업주 4.5%)
가입 대상: 18세 이상 60세 미만 직장인 필수 가입
혜택: 10년 이상 가입 시 노후 연금 지급

 

💡 프리랜서는 지역가입자로 가입 가능, 사업주 부담 없음


2)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요율: 건강보험 7.09% (근로자 3.545%, 사업주 3.545%)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95% 추가 부담
혜택: 의료비 부담 경감, 건강검진 지원

 

🚨 소득이 많을수록 건강보험료도 증가! (직장 가입자 & 지역 가입자 차이 있음)


3) 고용보험

요율: 1.8% (근로자 0.9%, 사업주 0.9%)
추가 부담: 사업주는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 사업 부담금 추가
혜택: 실업급여, 육아휴직 급여, 직업훈련 지원

 

🚨 자영업자는 가입 불가 (임의가입 가능)


4) 산재보험 

요율: 업종별 차등 적용 (근로자 부담 없음)
혜택: 업무 중 사고·질병 발생 시 치료비 및 보상 지원
사업주 부담 100% (근로자는 부담하지 않음)

 

💡 건설업, 제조업 등 사고 위험이 높은 업종일수록 요율이 높음


5. 4대보험 부담 줄이는 방법 (사업자 & 근로자 필독!)

📌 사업자를 위한 4대보험 절세 팁
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4대보험료 지원제도 활용 (두루누리 사회보험 지원)
직원 수를 적절히 조정하여 4대보험료 부담 최적화
산재보험 요율이 낮은 업종 코드를 활용

 

📌 근로자를 위한 실수령액 증가 전략
✅ 연봉 협상 시 세후 실수령액 기준으로 협상
✅ 비과세 항목(식대·자녀학비 보조금 등)을 활용!
프리랜서는 국민연금 & 건강보험료 부담 조절 가능!

 

🚨 4대보험료를 줄이기 위해 신고 누락 시 과태료 및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음!!!


2025년 4대보험 요율!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 :)

4대보험 부담금, 미리 한번 계산해 보세요! 📌



💡 이 글이 도움 이 되었다면💡

 아래에 있는 공감♡ 한 번씩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