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및 정부혜택

실업급여 예상 수령액은? 평균임금 기준 계산법 정리

taxtip119 2025. 3. 19. 13:07
반응형

실업급여 예상 수령액은? 평균임금 기준 계산법 정리

 

실업급여는 갑작스러운 실직으로 인한 생계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에게 일정 기간 동안 지급되는 지원금입니다.

하지만 "내가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는 얼마일까?"라는 궁금증을 갖고 있는 분들이 많은데요!

 

"실업급여는 어떻게 계산될까?"
"내 연봉 기준으로 실업급여 예상 금액은?"
"최소 몇 개월 받을 수 있을까?"

 

이번 글에서는 실업급여 예상 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과 지급 기간을 쉽고 빠르게 정리해 드릴게요! 🚀


📌 1. 실업급여 수급 요건 

실업급여는 아무 조건에서나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고용보험 가입기간 180일 이상 (약 6개월 이상 근무한 경우)
2) 비자발적 퇴사 (권고사직, 계약만료 등 포함)
3) 실업 상태이며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해야 함
4) 수급 중 단기 아르바이트 가능하지만 일정 소득 초과 시 지급 중단

 

🚨 자진퇴사의 경우 기본적으로 실업급여 대상이 아닙니다!
단, 불가피한 사유(임금 체불, 직장 내 괴롭힘, 가족 돌봄 등)가 인정되면 예외적으로 받을 수 있어요


📌 2. 실업급여 지급액 계산 공식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실업급여 예상 수령액을 계산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기본 계산 공식

📌 1일 실업급여 지급액 = 평균임금 × 60% (2025년 기준)
📌 1일 지급액 상한선: 1일 최대 66,000원 (2025년 기준, 매년 변동 가능)

 

✔ 평균임금 계산법

📌 평균임금 = 퇴직 전 3개월간 총 급여 ÷ 90일

 

여기서 총급여에는 기본급 + 상여금 + 각종 수당이 포함됩니다.
단, 연차수당·퇴직금·식대 등 일부 항목은 제외될 수 있음.

💡 즉, 퇴직 전 3개월 동안 월급이 높았다면 실업급여도 많아지지만,

지급액 상한선이 있기 때문에 최대 66,000원을 초과할 수는 없습니다.


📌 3. 실업급여 지급기간 (최대 몇 개월 받을 수 있을까?)

실업급여 지급기간은 고용보험 가입기간과 연령에 따라 달라집니다.

1)만 50세 미만 지급기간

고용보험 가입기간 / 지급일수

 

1년 미만 120일 (4개월)
1년 이상 ~ 3년 미만 150일 (5개월)
3년 이상 ~ 5년 미만 180일 (6개월)
5년 이상 ~ 10년 미만 210일 (7개월)
10년 이상 240일 (8개월)

2) 만 50세 이상 & 장애인 지급기간 (우대 적용됨)

고용보험 가입기간 / 지급일수

 

1년 미만 120일 (4개월)
1년 이상 ~ 3년 미만 180일 (6개월)
3년 이상 ~ 5년 미만 210일 (7개월)
5년 이상 ~ 10년 미만 240일 (8개월)
10년 이상 270일 (9개월)

🚀 즉, 장기 근속자일수록 실업급여를 더 오래 받을 수 있습니다!


📌 4. 실업급여 예상 수령액 예시 (구체적인 계산 사례)

💰 ① 평균 월급 250만 원인 경우

평균임금: 250만 원 × 3개월 ÷ 90일 = 83,333원
1일 실업급여: 83,333원 × 60% = 50,000원
총 예상 수급액:

가입기간 / 지급일수 / 예상 총 실업급여

 

1년 미만 120일 600만 원
3년 미만 150일 750만 원
5년 미만 180일 900만 원
10년 미만 210일 1,050만 원
10년 이상 240일 1,200만 원

💰 ② 평균 월급 400만 원인 경우 (최대 상한선 적용)

평균임금: 400만 원 × 3개월 ÷ 90일 = 133,333원
1일 실업급여: 최대 상한선 66,000원 적용
총 예상 수급액:

가입기간 / 지급일수 / 예상 총 실업급여

 

1년 미만 120일 792만 원
3년 미만 150일 990만 원
5년 미만 180일 1,188만 원
10년 미만 210일 1,386만 원
10년 이상 240일 1,584만 원

🚨 즉, 월급이 높아도 1일 최대 지급액이 66,000원이기 때문에 상한선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 5. 실업급여 신청 시 주의할 점 (가산금 주의!)

1) 구직활동 필수!
한 달에 1~2회 이상 구직활동 증빙해야 실업급여 유지 가능

 

2) 수급 중 단기 근로 시 신고 필수
아르바이트 또는 프리랜서 소득이 있으면 고용센터에 신고해야 함
일정 소득 초과 시 실업급여 감액 또는 중단 가능

 

3) 부정수급 시 환수 조치 & 불이익
허위 구직활동, 미신고 소득 발생 시 실업급여 전액 환수 + 최대 5배의 벌금 부과 가능

 

🚀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정해진 규칙을 꼭 지켜야 합니다!


지금까지 실업급여 예상 수령액을 알아봤는데요!

실업급여 신청 전, 내 예상 수령액을 미리 계산하고 대비하세요! 🚀

💡 이 글이 도움 이 되었다면💡

 아래에 있는 공감♡ 한 번씩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

 
 
반응형